[경제동향] 中 원자력 발전기 규모, 2030년 세계 1위 전망-세계뉴스

[경제동향] 中 원자력 발전기 규모, 2030년 세계 1위 전망 > 세계뉴스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16.0'C
    • 2024.06.02 (일)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세계뉴스

[경제동향] 中 원자력 발전기 규모, 2030년 세계 1위 전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이재문
댓글 0건 조회 534회 작성일 23-04-27 16:43

본문

(베이징=신화통신) 중국에서 원자력 발전기 규모가 2030년에는 세계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원자력업계협회는 26일 발표한 '중국 원자력 발전 보고(2023)' 청서에서 2030년 전까지 중국에서 가동 중인 원자력 발전기 규모가 세계 1위에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또 2035년까지 중국 원자력 발전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2년보다 2배 확대된 10% 정도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view?dest=NbMDEkJnhoczkyISstMTY4MjU4MDIwNTc1NC0vc3RvcmVfYXR0YWNobWVudC94Y2JhdHRhY2hmaWxlL2RzcGRhdGEvMjAyMy8wNC8yNy9Dc2VrcnpLMDA3MDMxXzIwMjMwNDI3X0NCTUZOMEEwMDEuancgBn지난해 7월 5일 랴오닝(遼寧)성에 위치한 훙옌허(紅沿河)원자력 발전소 1, 2호기 외관. (사진/신화통신)

관련 통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건설 중인 원자력 발전기는 24대, 설비용량은 약 2천681만㎾(킬로와트)에 달해 전체 규모로는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또 중국 본토에서 가동 중인 상용 원자력 발전기는 54대, 설비용량은 5천682만㎾로 세계 3위다. 원자력 발전 설비용량이 전체 발전 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2%인 것으로 집계됐다.

'화룽(華龍) 1호' 원전의 가동을 두고 청서는 중국이 2세대 원전 자주개발에서 3세대로 한 단계 도약한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또 고온가스냉각로, 소형 원자로, 핵융합로 등 선진 수준의 원자력 프로세스에서도 중대한 진전을 거뒀다고 평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주요 원자로 설비의 국산화율이 90% 이상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국내 원자력 발전 주요 설비 인도량은 54대로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치였다고 설명했다.

청서는 앞으로 중국의 원자력 발전기 규모가 더욱 확대될 것이며 원자력 기술 응용 산업이 중국의 새로운 경제 성장 포인트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본 사이트는 이메일주소를 무단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법률 제 8486호]
[사무실]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정남로52번길 30,3층(수진동) TEL : 031 - 623-5230
[대표전화] 010-2777-7572 FAX/ 031-741-5230 [대표E메일] NBU9898@NATE.COM [등록번호]경기, 아51602 [등록일] 2017년 7월31일
[발행인/편집인] 양정애 [청소년보호책임자]양정애 제호 : 성남종합뉴스 .

Copyrights ⓒ 2017 성남종합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