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보건환경연구원, 알루미늄 용기 안전성 검사. 모두 ‘적합’-건강/스포츠

도 보건환경연구원, 알루미늄 용기 안전성 검사. 모두 ‘적합’ > 건강/스포츠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19.0'C
    • 2024.06.03 (월)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건강/스포츠

건강 도 보건환경연구원, 알루미늄 용기 안전성 검사. 모두 ‘적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1-09-28 15:00

본문



○ 도내 유통중인 식품용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안전성 조사
 - 알루미늄 용기 안전성 조사 요청 ‘도민 정책 아이디어 제안’ 수행의 일환
 - 식당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알루미늄 냄비, 그릇 및 포일 등 80건에 대한 유해금속 안전성 조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도내 유통되는 ‘식품용 알루미늄 조리기구’ 등에 대해 납, 카드뮴 등 유해금속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도내에서 유통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냄비(36건), 그릇(14건), 일회용 용기(21건), 포일(6건), 프라이팬(3건) 등 총 80건의 안전성 검사를 진행했다.
검사 결과 80건에서 납, 카드뮴, 니켈, 6가 크롬, 비소가 모두 기준치 이내로 검출됐다. 알루미늄 냄비의 경우 ▲납 0 mg/L(기준치 0.4 mg/L 이하) ▲카드뮴과 6가크롬 0 mg/L(기준치 0.1 mg/L 이하) ▲니켈 0.01 mg/L(기준치 0.1 mg/L 이하) ▲비소 0 mg/L(기준치 0.2 mg/L 이하) 등이었다.
아울러 염도와 산도가 높은 음식을 알루미늄 용기에 보관할 때 조리기구로부터 식품으로 알루미늄 이행량도 조사했다. 간장고추장아찌와 피클을 알루미늄 일회용 용기에 3일간 보관 시 알루미늄의 식품으로 이행량은 간장고추장아찌는 보관개시일 3.9 mg/kg에서 3일째 6.9 mg/kg로 180% 증가했고, 피클은 보관개시일 5.7 mg/kg에서 3일째 9.1 mg/kg로 160% 증가했다. 다만 국내 및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정하고 있는 알루미늄 함유 식품첨가물의 사용기준을 참고했을 때 이행된 양은 안전한 수준이었다.
연구원 관계자는 식품 중 염 또는 산의 양에 따라 알루미늄의 이행량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알루미늄 재질 조리기구를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염도 및 산도가 높은 식품을 오래 보관하지 않을 것을 권했다.
오조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도민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식품안전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검사를 진행했다”며 “앞으로도 도민 의견을 적극 수렴한 생활밀착형 연구를 수행해 식품의 유해 물질에 대한 사전예방적 차원의 검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본 사이트는 이메일주소를 무단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법률 제 8486호]
[사무실]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정남로52번길 30,3층(수진동) TEL : 031 - 623-5230
[대표전화] 010-2777-7572 FAX/ 031-741-5230 [대표E메일] NBU9898@NATE.COM [등록번호]경기, 아51602 [등록일] 2017년 7월31일
[발행인/편집인] 양정애 [청소년보호책임자]양정애 제호 : 성남종합뉴스 .

Copyrights ⓒ 2017 성남종합뉴스 All Rights Reserved